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xfeo/btrseQcrGtD/5PdDtGzFBrh9UTLqt7qzR1/img.jpg)
저당권과 근저당권의 차이와 그 뜻에 대해 헷갈리지는 않으셨나요?? 일반적으로 두 용어는 부동산 관련하여 자주 접할 수 있는 단어들입니다. 특히, 전세로 집을 구할 때, 저당권과 근저당권 설정이 되어있는지 잘 확인해야만 집이 경매로 넘어갈 위험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. -목차- 1. 저당권이란 2. 근저당권이란 3. 저당권과 근저당권 차이 4. 마치며 I 저당권이란? 저당권이란 "채무가 이행되지 않을 경우에 채권자가 저당물(담보물)에 대하여 일반 채권자에 우선하여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"를 뜻합니다. 즉, 은행에서 돈을 빌리고자 할 경우, 은행은 돈을 빌려주는 대신 물건 또는 부동산과 같은 담보물을 요구합니다. 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담보를 잡고 돈을 빌려주는 것입니다.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fIR3J/btrroWZLQwz/phBy9h4ssHKvKakP5xdHJ1/img.jpg)
공시지가와 실거래가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말입니다. 그러나 부동산에 관심이 있거나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정확한 뜻과 차이를 모르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. 부동산 거래 또는 관련 세금을 계산할 때, 이 둘의 뜻과 차이점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. -목차- 공시지가와 실거래가 - 공시지가란? - 실거래가란? - 공시지가와 실거래가 차이 공시지가와 실거래가 공시지가란? 공시지가란 국토교통부 장관이 조사평가를 통해 토지 면적 당 공시한 가격을 의미합니다. 이는 건축물이 아닌 온전히 토지에 대한 가격만을 공시하는 것입니다. 이 개념이 만들어진 이유는 합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토지 가격 정보체계를 세우기 위해서입니다. 공시지가 조사 기준일은 매년 1월 1일입니다. 그러나 2000년 이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5TuA/btrrcN72cGE/tLoB2QKBQZVfBNEDQ8DNc1/img.jpg)
2020년 시행된 임대차 보호 3 법에서 보장하는 임차인의 권리 중에는 계약갱신 청구권이 있습니다. 임차인의 거주 안정과 보호를 위해 전월세 계약을 한 번 더 연장할 수 있는 권리가 바로 계약갱신 청구권입니다. 해당 권리의 뜻과 행사 방법, 그리고 거부 및 거절 사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-목차- 1. 계약갱신 청구권이란? 2. 권리 행사 방법 3. 집주인의 거부 및 거절 사유 계약갱신 청구권이란? 계약갱신 청구권이란 2020년 시행된 임대차 3 법 중 하나로 임차인이 보호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. 특별한 사유가 없는 경우에는 2년마다 새 집을 구하며 이사하면서 사는 것은 정말 힘든 일입니다. 그때마다 이사 비용도 발생하게 되죠. 이렇게 거주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임차인의 거주 안정을 위해 마련된 방안이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MMGo/btrq7UeY6dC/F56UCrcGaNAIoEVId4wNsK/img.jpg)
취락지구는 자연취락지구와 집단취락지구로 나뉘며 오늘은 자연취락지구란 무엇인지 포스팅하고자 합니다. 어떤 마을이나 지역이 자연취락지구로 지정되면 그 지역의 건폐율과 용적률이 완화 적용되게 됩니다. 이는 개발 규제 완화를 의미하며 시장에서 호재로 작용하여 인근 땅 값이 상승하곤 합니다. -목차- 자연취락지구란 - 건폐율과 용적률 l 자연취락지구란? 자연취락지구를 이해하기 위해서 사전적 정의부터 알아보겠습니다. 자연취락지구란? -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녹지 지역, 농림 지역, 자연환경 보전 지역 등지에 있는 마을을 정비하기 위하여 지정된 지구를 의미합니다. 쉽게 이야기하자면, 많지는 않지만 또 적지도 않은 인구가 살고 있는 지역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. 큰 마을은 아니지만 일정 규모의 주..